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총정리 – 나는 해당할까?

 


전기료, 식비, 월세까지… 매달 고정지출은 오르는데 저축은 쉽지 않은 요즘.
특히 청년층에게 목돈 마련은 먼 이야기처럼 느껴집니다.
이럴 때 정부가 마련한 ‘청년도약계좌’는 5년 만기, 안정적인 목돈 형성을 돕는 확실한 제도입니다.
하지만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 건 아니죠.
이번 글에서 연령·소득·가구 기준부터 중도해지 요건까지, 2025년 최신 조건을 정확히 정리했습니다.





가입 대상 & 요건

① 연령 조건

  •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

  • 병역 이행자는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 가능

② 개인 소득 조건

  •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, 또는

  • 종합소득과세표준 6,300만 원 이하

③ 가구소득 조건

  •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
④ 금융소득 과세 대상 여부

  • 최근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일 경우 제외


납입 방식 & 정부 기여금


  • 납입 한도: 매월 1,000원 이상 ~ 70만 원 이하 자유적립

  • 정부 기여금: 소득 수준별 월 최대 33,000원 지원

  • 세제 혜택: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


기타 조건 & 주의 사항

  • 1인 1계좌 가입 원칙

  •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불가

  • 부정 가입 시 기여금 환수 및 제재 대상

  • 특별 중도해지 사유 인정 시 일부 혜택 유지 가능
    (사유: 사망, 퇴직, 출산 등)


요약 체크리스트

  • ✅ 연령: 19~34세 (병역 연장 가능)

  • ✅ 개인 소득: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or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

  • ✅ 가구 소득: 중위소득 250% 이하

  • ✅ 금융소득 과세 대상 아님

  • ✅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불가


다음 이전